기업 이름 짓기
성공하는 기업은 이름부터 남다른 법이죠. 기업 이름은 기업의 얼굴과도 같기에, 기업 이름 짓기에 성공하기만 해도 상당한 마케팅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기업 이름을 짓는 데에는 생각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한 번 지은 이름은 중간에 바꾸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이죠.
한 번 만들 때 신중하게 고심하고 고심한 끝에 기업 이름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기업 이름 짓기에 자신 없는 여러분을 위해서 제가 만든 기업 이름도 추천해드리고, 우수 기업 이름 모음과 함께 여기에 활용된 전략도 알려드리고, 그래도 막막하신 분들을 위해서 구체적으로 기업 이름 짓는 과정과 전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글만 꼼꼼히 읽으셔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좋은 기업 이름 추천 20
저도 이 글을 쓰면서 기업 이름을 만들어봤기 때문에 회사명 짓기란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그런 막막한 마음을 잘 알기에 우선 기업 이름을 추천해드리면서 이 글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제가 아래에서 소개해드릴 기업 이름은 실제 있는 이름은 아니고 제가 임의로 지은 이름입니다.
경쟁사 이름을 확인해보거나, 아래에서 이용되는 전략을 활용해서 이름을 지어봤습니다. 어떤 이름은 기업 이름 생성기의 도움을 받아서 짓기도 하였습니다. 일단 제가 지은 이름을 참고하시고, 이 글을 계속 읽으면서 우수 기업 이름 사례에 숨겨진 브랜딩 전략, 단계별 가이드, 기업 네이밍 전략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봅시다.
- 어썸 톡
- 야미 토마토
- 원버튼 테크
- 맛있는 칼로리
- 앙칼진 고양이
- 깨끗한 베베
- 본마망 마켓
- 블랙 에너지
- 수정 화학
- 바른 썽떼
- 페잉유
- 라라 오가닉
- 예쁜 사람 예쁜 사랑
- 프레시 마트
- 알로에 모이스쳐
- 세아제분
- 로직 데이터
- 트레이드 프로
- 인사이트 시그널
- 메타 임팩트
우수한 기업 이름 모음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은 귀에 착착 감기는 이름을 지은 경우가 많습니다. 고도의 전략을 활용하여 좋은 기업 이름을 짓는 경우도 있고, 고심 끝에 우연한 기회로 좋은 이름이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래에서 설명해드리는 기업 이름 짓기 우수 사례를 확인해보시고 이러한 네이밍 전략을 활용해보세요.
- 페이팔
페이팔은 원래 ‘콘피니티(Confinity)’라는 기업 이름으로 설립되었습니다. 그 이후 1999년에 일론 머스크가 창립했던 ‘엑스닷컴’과 합병되었습니다. ‘페이팔(Paypal)’이라는 이름은 ‘Paying your Pal(친구에게 돈을 지불하다)’라는 구절을 줄여서 만든 이름이라고 합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돈거래를 나타내는 이 단어는 결제 서비스인 페이팔의 기업 이미지를 잘 투영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기업 이름을 지을 때 단어의 조합을 생각해볼 수도 있고, 이렇게 구절을 생각해볼 수도 있습니다. 귀사의 이미지를 잘 드러내 주는 구절을 생각해보고 첫 단어만 따오는 식으로 축약해서 이름을 지어보세요.
- 리복
리복은 세계적인 스포츠용품 브랜드입니다. ‘리복(Reebok)’이라는 이름은 1958년에 지어진 이름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빠른 동물인 ‘리복(Rhebok)’에서 나온 이름입니다. ‘Rhebok’이라는 철자에서 ‘Reebok’으로 바꿔서 기업 이름을 만들었습니다.
리복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빠른 동물이라는 점에서 스포츠용품 브랜드인 리복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담고 있으며, 짧은 단어라서 기억하기도 쉽습니다. 여러분도 이렇게 이미 있는 동물 이름, 과일 이름 등을 조금만 변형하여 좋은 기업 이름을 지을 수 있습니다.
- 에비앙
‘에비앙(Evian)’은 세계 최초로 생수를 상품화하여 판매한 프랑스의 고급 생수 브랜드입니다. ‘에비앙’은 프랑스 남부 론알프스 지방의 레만호숫가에 위치한 휴양 도시입니다. 에비앙은 프랑스 혁명이 발생했던 1789년, 신장결석이 있었던 귀족이 에비앙에서 요양하면서 그 마을의 물을 마시고 병을 고친 일을 스토리텔링하였습니다.
비록 이름 자체는 평범한 휴양 도시의 이름이지만, 스토리텔링을 잘한 덕분에 고급 생수 브랜드로 자리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도 평범한 단어나 지명을 그대로 이용해서 기업 이름을 짓고 사연을 설명해서 기업 이미지를 브랜딩할 수 있습니다.
- 아디다스
아디다스도 세계적인 스포츠용품 브랜드입니다. ‘아디다스(Adidas)’라는 이름은 한국인 입장에서도 발음하기 어렵지 않아서 기억하기 쉬운 이름인데요. ‘아디다스’라는 이름은 어디서 나왔을까요? ‘아돌프 다슬러(Adolf Dassler)’라는 아디다스 창립자의 이름에서 나온 기업 이름입니다. 아돌프의 애칭은 ‘아디(Adi)’인데 ‘아디 다슬러(Adi Dassler)’라는 이름에서 앞글자만 따서 지은 이름입니다.
이렇게, 창립자의 이름을 따서 기업 이름을 짓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습니다. 여러분도 여러분의 이름이나 친구 혹은 가족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복잡한 이름은 피하도록 하세요. 특히 해외 시장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한국식 이름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최대한 기억하기 쉽고 발음하기 쉬운 이름을 선택하세요.
- 넷플릭스
요즘에는 넷플릭스를 이용해본 적 없는 분들을 찾기가 어려운데요. 그 정도로 넷플릭스는 전 세계 사람들의 일상 속에 스며든 세계 최대 OTT 서비스입니다. ‘넷플릭스’라는 이름은 어떻게 지어진 걸까요? 인터넷이라는 의미의 ‘넷(net)’과 영화라는 의미가 있는 고어 ‘플릭스(flix)’를 합쳐서 지은 이름입니다.
여기서도 볼 수 있듯이, 기업 이름이 두 가지 단어를 조합해서 지어진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분도 두 가지 단어의 조합으로 기업 이름을 짓고 싶다면, 기업 이름 생성기를 활용하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업계 관련 용어 및 기업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단어를 모두 검색해보고 그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이름 조합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회사명 짓기 단계별 가이드
이제 좋은 기업 이름 사례도 알아봤으니, 회사 이름을 직접 지어볼 시간입니다. 회사 이름을 짓는 게 너무 막막하실 수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해드리는 단계별 가이드를 따라하기만 하면 생각보다 쉽게 지을 수 있을 겁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잘 따라오세요.
- 타겟 시장 조사하기
회사 이름을 짓기 전에 일단 조사와 분석이 필요합니다. 타겟 시장을 조사해보고 경쟁사의 이름을 일단 모아보세요. 종이에 하나하나 적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타겟 시장의 경쟁사 이름을 적어보면 유사한 패턴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그러면 이러한 패턴을 따라서 무난하게 이름을 지을 것인지 아니면 유사한 패턴을 거부하고 독창적인 이름을 지을 것인지 선택하시면 됩니다.
- 기업의 가치 생각해보기
여러분이 추구하는 기업의 가치는 무엇인가요? 좋은 회사 이름이라면 여러분이 투영하고자 하는 기업 이미지를 담고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기업 이름에 담고 싶은 가치가 무엇인지 곰곰이 생각해보세요. 이러한 기업의 가치와 평판도 종이에 적어봅니다.
- 기업과 관련된 용어 정리하기
여러분이 창립하려는 기업과 관련된 용어를 모두 종이에 적어보세요. 그리고 동의어와 유의어도 모두 찾아보세요. 원하신다면, 해당 단어를 다양한 외국어로 검색해서 적어보고 옆에 한국어로 발음 나는 그대로 적어보세요. 철자도 조금씩 변형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철자를 한두 개 빼거나 더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한글로 쓰여진 단어를 발음 나는 그대로 옆에 적어봅니다.
- 기업 이름 생성기 돌려보기
3단계까지 왔으면 이제 꽤 많은 단어가 나왔을 겁니다. 이제 이러한 단어를 모두 기업 이름 생성기에 돌려봅니다. 3단계에서 작성한 동의어와 유의어, 외국어 단어도 모두 검색해보세요. 그러면 두 가지 단어 조합을 추천해줄 겁니다. 두 가지 단어 조합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고, 앞글자 2개만 따서 짓는다든지 할 수 있습니다.
- 기준에 충족하지 않는 이름 빼기
이제 최종 후보를 추려봐야 합니다. 기준에 충족하지 않는 이름을 하나둘씩 지워나가면 결국에는 가장 적절한 이름이 나올 것입니다. 다음의 조건에 따라서 부적절한 이름을 빼도록 하세요.
- 부정적인 연상이 있는 단어는 뺍니다.
- 직접 발음해보고 발음하기 어려운 단어는 뺍니다.
- 차별화된 네이밍 전략을 위해서 경쟁사에서 너무 흔하게 이용하고 있는 이름은 제외합니다.
- 발음이 어려운 단어는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뺍니다.
- 기업 이미지를 잘 반영하지 않는 단어는 뺍니다.
- 해외 진출을 앞두고 있는 경우 해외 시장에서 현지화가 어려운 단어는 뺍니다. 지나치게 발음하기 힘든 한국어로 된 단어는 자제해야 합니다.
- 주변 사람에게 물어보기
이렇게 해서 몇몇 최종 후보가 나왔다면, 주변 사람에게 물어보면서 피드백을 요구해봅니다.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도록 하세요.
- 이 이름을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무엇인가요?
- 발음하기 쉬운가요?
- 쓰기 쉬운가요?
- 기억에 남는 인상적인 이름인가요?
- 이 이름을 들었을 때 어떤 기업일 것 같나요?
- 도메인 및 상표 등록 가능한지 확인하기
이제 마지막 단계로 상표 등록과 도메인 등록만 남겨둔 상황입니다. 해당 상표를 등록할 수 있는지 도메인에 등록할 수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봐야 합니다. 의외로 마지막 단계에서 막혀서 다른 이름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는 이름을 조금 바꿔서 등록할 수도 있고, 아니면 5단계에서 추렸던 최종 후보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독창적인 기업 이름 짓는 5가지 전략
독창적인 기업 이름은 그 자체만으로도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니 독창적인 기업 이름을 짓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는 다시 강조하지 않아도 잘 아실 겁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독창적인 기업 이름을 지을 수 있을까요? 아래의 5가지 전략을 확인해보고 독창적인 기업 이름을 지어보세요.
- 발음하기 어려운 표현 피하기
요즘에는 영어로 기업 이름을 짓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영어뿐만 아니라 제2외국어를 활용하여 더 고급스럽고 이국적인 느낌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주요 타겟층인 한국인이 이름을 봐도 어떻게 읽는지 헷갈려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기억에 남기 힘든 이름은 시장에서 살아남기 힘듭니다.
영어나 제2외국어를 활용해서 이름을 짓는 것도 좋습니다. 외국어를 활용하면 생각보다 쉽게 독창적인 기업 이름을 지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보통 한국인이 어떻게 발음하는지조차 모르는 단어라면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니면 한국식으로 발음하기 쉽게 바꿔서 한글로 표기하는 것도 좋습니다.
-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 단어 활용해보기
구글과 같은 유명 기업의 이름은 실제 단어로 만들어진 이름이 아닙니다. 경쟁사와 차별화되고 독창적인 이름을 짓고 싶다면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지 않는 단어를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독창성과 창의성에 너무 집중하다가 기억하기 힘든 이름을 고르지는 마세요. 입에 잘 붙지 않고 귀에 감기지 않는 이름은 마케팅에 방해가 되기 때문입니다.
흔한 단어의 조합으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흔한 단어를 합쳐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면 독특하면서도 친근한 느낌을 풍길 수 있습니다. 특히, 의외의 조합을 활용하면 독창적이고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KB저축은행의 ‘키위뱅크’는 ‘키위’와 ‘뱅크’의 조합입니다. 보통 은행을 생각했을 때 키위를 떠올리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그런 점에서 의외의 조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저축은행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신선한 느낌으로 상쇄해주고 있습니다.
- 부정적인 연상 방지하기
기업 이름에는 기업의 긍정적인 이름을 투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업 이름을 듣기만 해도 기업이 전달하려는 이미지가 연상되어야 합니다. 혹시라도 부정적인 연상이 일어날 수 있는 이름은 이용하시면 안 됩니다. 좋은 방법은 이름을 다 지은 이후에 주변 사람들에게 어떤 게 가장 먼저 떠오르냐고 물어보는 것입니다. 부정적인 연상이 떠오른다는 피드백이 있으면 해당 이름은 이용하지 않습니다.
특히,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기업이라면 조심하셔야 합니다. 한국어로는 긍정적인 단어일지라도 해외에서는 나쁜 단어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같은 발음을 지닌 단어가 해외에서는 성적인 의미나 욕설로 이용될 수도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현지인을 상대로 간단한 설문조사를 해보는 게 좋습니다.
- 단어를 뒤집어 보기
흔한 단어를 거꾸로 뒤집어 보면 독특하고 창의력 있는 이름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는 ‘Hello’라는 단어를 뒤집어서 ‘Olleh’를 만들어낸 KT의 올레 브랜드가 있습니다. ‘올레’라는 이름 자체도 간단하고 기억하기 좋지만, ‘Hello’를 뒤집어서 만들었다는 점을 어필하니 고객에게 더 쉽게 각인되었습니다.
단어를 뒤집어서 독창적인 기업 이름을 지으려면 철자가 쉬운 단어를 이용하는 게 좋습니다. 그래야 뒤집었을 때도 발음하기 쉬운 단어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 이미 있는 단어의 철자를 바꿔보기
이미 있는 단어를 이용하면 기억에 남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업 이미지에 맞는 단어를 최대한 많이 찾아서 단어의 철자를 바꿔보세요. 영어로 표기하는 경우에는 발음에는 큰 차이가 없도록 한두 글자 정도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복(Reebok)’이라는 브랜드는 ‘리복(Rhebok)’이라는 동물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그리고 리복이 아프리카에서 가장 빠른 동물이라는 점에서도 스포츠용품 브랜드의 이미지를 잘 투영하고 있습니다.
아니면, 연음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기업과 관련된 단어를 직접 발음해보고 소리 나는 대로 적어보세요. 이렇게 하다 보면 독창적인 기업 이름을 지을 수 있습니다.